본문 바로가기

코인

메타디움 코인 향후 전망 알아보면?

“신원(Identity)"이란, 내가 누구인지를 정의하는 개인 정보다. 현재 우리의 신원은 현실의 신원과 더불어 온라인의 가상세계 신원을 포괄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과 가상세계 곳곳에 퍼져나가 있는 우리의 신원은 하나로 통합되기 어렵다. 또한, 인터넷의 활성화로 인해 가상 신원의 사용량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서비스 제공업체와 같이 중앙화된 권력에 의해 통제되고 관리된다. 중앙집권적인 방식으로 관리되는 우리의 신원 정보는 해킹, 정보 유출  등  많은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가입 절차의 번거로움과 무수히 많은  계정의 ID와 비밀번호를 매번 기억해야 하는 고충도 우리 모두가 공감하는 문제일 것이다. 신원과  신원  인증에  대한 많은 어려움과 문제점은 안전하고 사용하기 쉬운 동시에 신뢰할 수 있는 신원  시스템의 필요성을 불러일으켰다. 

 

 

메타디움 이란?

 

앞서 말한 것 처럼 현재의 중앙화된 신원인증 체계에서는 개인정보의 소유권이 온전히 개인에게 있다고 보기 힘듭니다 메타디움은 메타 ID(Meta ID)를 통해 사용자가 개인정보의 생성, 관리, 제공, 삭제 등에 있어 모든 권한을 가지게 하여 개인정보의 자기소유권을 보장하고자 합니다 메타디움은 개인 정보 인증 신원인증에 관련된 편의, 보안성 개선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코인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메타디움 특징

 

1. 메타디움의 성격 

분산 원장으로서, 블록체인은 “no trust dependency”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는 중앙집권적인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독립을 의미한다. 중앙권력으로부터 신원에 대한 자기 주권을 되찾는 것은 개인적인 데이터를 투명하고 안전하게 분배하여 개인이 자신의 디지털 자산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관점에서 봤을 때, 자신의 정보를 언제, 어떻게 쓸지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 혹은 제3자가 개인의 허락 없이 데이터를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

 

메타디움은 아이덴티티 정보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메타디움은 네트워크 처리량 확장성, 기능성, 플랫폼 확장성의 세 가지 핵심 요소를 가진다.

 

1) 네트워크 처리량 확장성(scalability)

블록 생성과 처리 과정은 Proof of Authority 컨센서스에 기반해 별도로 처리할 예정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기술 문서 (metadium.com/faq)에서 서술한다. 신원 분야의 블록체인의 전문가로서, 메타디움은 확장성을 미래 사업 기회를 위한 핵심 요소로 생각한다.

 

2) 기능성(performance)  

블록체인 기술은 현실의 실물 세계에 자연스럽게 통합되기 위해 특정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메타디움은 사용자가 즉시 블록을 형성하고 거래 효율성을 늘리고, 더 큰 블록과 큰 거래 시행을 수월하게 한다.

 

3) 플랫폼 확장성 (expandability)

확장성은 메타디움의 또 다른 획기적인 성격이다. 메타디움뿐 아니라 다른 블록체인 상의 DApp까지 다른 블록체인 메타디움 생태계 안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심지어는 블록체인 기반이 아닌 서비스도 일부 호환된다. 메타디움은 개인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도록 맞춤 설정할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메타디움 구조를 통해 서로 다른 사용자와 긴밀히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메타디움의 핵심 제품은 메타 ID이다. 메타 ID는 개인의 현실 신원과 가상 신원을 연결하여 차세대 신원 설루션에 대한 기반을 제공한다. 고객 알기 제도(KYC)가 불법행위에 이용되지 않도록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는 시스템)와 더불어 메타디움은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는 다른 분산 디지털 신원 프로젝트와 구별되는 추가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정 기능에 대한 정보는 향후 업데이트에 공개될 것이다. 

 

메타디움의 자기 주권 신원 인증 프로토콜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가상 신원을 유지하면서 신원의 소유권 및 관련된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메타디움 플랫폼은 사용자의 동의 없이 사용자의 신원 및 개인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다. 이 프로토콜에 따라 각 사용자는 여러 디지털 신원 간에 같은 기본 설정이나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우리는 이것이 “신원" 개념 진화의 절정이라고 생각한다.

 

2. 인증, 검증, 그리고 사물의 "신원" 

과거에는 신원 인증과 관련된 인프라가 종종 신원 정보의 본질적인 가치를 무시하고 해당 개체의 신원을 해당 인물의 신원과 일치시켰다. 

 

사람들은 종종 지적 재산권(IP: Intellectual Properties)에 대한 권리가 일반적으로 사물의 신원(IDoT: Identity of Item)과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의 목적은 특정 사물의 경제적 가치 또는 사람들의 독점을 보호하는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물의“신원”이 실현된다면, 정보 공유와 접근의 필요성은 더 증가할 것이며, 모든 기기와 운영 객체는 신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 관점에서 메타디움은 복잡한 신원 정보 네트워크를 수용할 수 있는 완전한 ID 구조를 만들기 위해 사용자와 관련된 기기 및 개체의 신원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완전한 신원 구조는 주체의 신원 검증(verification) 및 인증 (certification) 과 구분하여 생각할  수 없다. 서로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을지라도,  검증과  인증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검증은 암호와 휴대폰 토큰과 같이 public perception과 더  부합하는  방식으로  수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제3자 공증인 또는 다른 승인된 중개자가 필요하다. 더 엄격한 정보 보안 요구 사항이 필요하거나 신원의 권한 혹은 신빙성을 보여주어야 할 때 우리는 증명을 해야 한다. 

 

따라서 "당신이 당신이 맞는지 증명하시오" 와 같은 상황이 현실이 될 수 있다. 기존의 신원 인증 시스템에는 "인증" 과정이 생략되어 있다. 의무의 이행이나 소유권과 같은 실생활에서의 다양한 인증 또한 입증되어야 한다. 메타 ID로 완벽한 ID를 생성함으로써 메타디움은 인증 및 검증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3. dPKI와 메타 컨센서스 알고리즘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공개키)은 보통 높은 수준의 신원 인증 시스템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인증 기관 (Certificate Authority)에 따른 중앙집권적 특성으로 인해 종종 데이터 소유권 및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그 결과, 많은 사람은 인증 기관을 신뢰할 수밖에 없다. 

 

메타디움의 dPKI (decentralized PKI: 분산 PKI)는 개인이 가상세계 신원의 무결성을 신뢰할 수 있게 해준다. 메타디움을 통해서 기업과 개인은 개인 정보의 소유권을 가지게 되며, 언제, 어떻게 정보가 공유되는지 통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현 면에서, 메타 컨센서스 알고리즘은 RAFT 컨센서스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만들어졌다. 사용자는 META 토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자신의 메타 ID를 생성하고 업데이트하는 등 신원과 관련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블록 생성자(노드)가 가진 권한은 메타디움이 인정하고 지정한 권한으로 제한되며, 노드는 동기부여를 통해 블록을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보호한다. 

 

사용자는 신원의 주체이며, 모든 신원 형식의 주체는 메타 ID의 사용자가 될 수 있다. 메타   ID는 개인의 신원뿐만 아니라 기기, 사물, 콘텐츠 등 신원 인프라가 필요한 모든 개체의 ID로 사용된다. 

 

CA은 신뢰할 수 없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합법성을 부여한다. 사용자는 인증기관(공증인, 금융기관 및 기타 조직 포함)에 의해 인증받을 수 있다. 자격이 있는 조직만이 메타디움의 인증기관으로 활동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 ID가 필요한 당사자로 구성된다. 서비스 제공업체는 메타 ID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해 사용자의 메타 ID 식별과 같은 dApp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타디움 투자사

 

 

 

 

 

메타디움 2021년 로드맵 

 

2021 2Q

더폴 서비스 고도화(NFT 활용)

  • NFT와 수익 모델을 접목
  • NFT 기반의 Badge 시스템 도입


메타디움 기반 NFT플랫폼 메타파이 출시

  • 메타디움 기반의 NFT 발행
  • NFT 거래 기능 제공


메타디움 Explorer 업그레이드

  • 트래픽 증가(거래 생성 400K이상, 블록 생성 60K이상) 및 사용자 증가(사용주소 1M이상)에 따른 구조 개선 및 성능 향상 작업
  • OpenAPI 기능 개선 및 통계 정보 추가


메타디움 베를린 하드포크 적용

  • EIP-2565 "ModExp Gas Prices"
  • EIP-2718 "Typed Transaction Envelope"
  • EIP-2929 "Gas Cost Increases for State Access Opcodes"
  • EIP-2930 "Optional Access Lists"

2021 3Q

메타디움 런던포크 적용

  • EIP-1559 "Fee Market Change for ETH 1.0 Chain"
  • EIP-3198 "Ethereum Difficulty Bomb Delay"

2021 4Q

메타디움 DeFi 생태계 조성(스왑, 브리지, 스테이블코인)

  • DID 기술을 기반으로 한 DeFi 생태계 구성
  • 메타디움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유통
  • 메타디움 인증제도 도입, 메타디움 기반 DAPP의 신뢰성 확보로 이용자 보호
  • 컨트랙 감사, 법인등록증, 키 관리자 개인정보 제출을 통한 DAPP 개발 주체의 신분 증명 및 관리자의 개인 정보 제출

 

 

메타디움 전망은?

 

블록체인에 신원인증 관련 기술 접목시키며 성장해가는수많은 프로젝트가 훗날로 하여금 좋은 생태계를 이룰 수 있는 자리를 잡아 사회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고도 생각됩니다